아이노드(inode) Full 확인 하기
간혹 Disk 용량를 모두 사용하지 않았으나, 파일 등이 생성이 안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그 이유 중 하나는 아이노드(inode)의 개수가 모두 사용해서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Linux] 아이노드(inode) Full 확인 하기](https://blog.kakaocdn.net/dn/kEt7D/btrr4yCnV3Z/tJ6JwPodkpOaOZkQJyGo3k/img.png)
그럼 일단 아이노드(inode)가 무엇인지부터 알아보도록 하자.
1. 아이노드(inode)란?
파일을 기술하기 위한 자료 구조 모든 파일 시스템이며, 아이노드의 개수(파일의 최대 개수)는 OS 설치 시 혹은 파일 시스템 생성 및 설정 시에 해당 개수를 설정할 수 있다.
2. 아이노드(inode) 용량 확인
df 명령어를 통해서 해당 부분을 확인할 수 있으며, 그중 -i 옵션을 통해서 해당 내용에 대해서 확인 가능하다.
아래 비교한 것처럼 df 명령어를 통해서 항상 디스크 용량만 뿐만 아니라 -i 옵션을 통해서 아이노드(inode)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다.
# 아이노드 사용량 확인
$ df -i
Filesystem Inodes IUsed IFree IUse% Mounted on
/dev/sda1 1310720 152112 1158608 12% /
tmpfs 1007655 1 1007654 1% /dev/shm
/dev/sdb1 6553600 5113893 1439707 79% /data
# 디스크 용량 확인
$ df
Filesystem 1K-blocks Used Available Use% Mounted on
/dev/sda1 20511356 3776048 15686732 20% /
tmpfs 4030620 0 4030620 0% /dev/shm
/dev/sdb1 103080224 41167496 56669900 43% /data1
3. 정리
아이노드(inode)를 확인하는 방법을 위에서 알아보았다.
사용량이 100%로 더 이상 IFree에 생성될 부분이 없다면 아무리 디스크의 용량이 남아 있다고 해도 파일 혹은 디렉터리가 더 이상은 생성되지 않는다.
그 이유는 위에서 설명했지만 사용 가능한 아이노드(inode)의 개수를 모두 사용함에 따라 발생한 부분이다.이런 경우 파일 사이즈는 작으나 파일의 수가 매우 많은 경우 발생할 수 있다.결국 이럴 때는 필요 없는 파일을 삭제하거나, 아이노드(inode) 수를 늘려서 사용하도록 하자.
4. 참고 문서
아이노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전산학에서 아이노드(inode)는 UFS와 같은 전통적인 유닉스 계통 파일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자료구조이다. 아이노드는 정규 파일, 디렉터리 등 파일 시스템에 관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 파일들은
ko.wikipedia.org
🌵댓글
선인장 🌵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
이 글이 도움이 됐다면, 응원 댓글을 써보세요. 블로거에게 지급되는 응원금은 새로운 창작의 큰 힘이 됩니다.
응원 댓글은 만 14세 이상 카카오계정 이용자라면 누구나 편하게 작성, 결제할 수 있습니다.
글 본문, 댓글 목록 등을 통해 응원한 팬과 응원 댓글, 응원금을 강조해 보여줍니다.
응원금은 앱에서는 인앱결제, 웹에서는 카카오페이 및 신용카드로 결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