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Mac] macOS Dock 최근 사용 응용프로그램 제거 macOS Dock 최근 사용 응용프로그램 제거 MacOS에서 따로 설정하지 않으면, Dock에 계속적으로 최근 사용한 응용프로그램들이 남겨진다. 불필요하게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자 아래와 같이 설정 시 이와 같은 내용은 해결할 수 있다. 1. 설정 메뉴바 >  > 시스템 환경설정 > Dock Dock(독)을 클릭해서 들어가서 "Dock에서 최근 사용한 응용프로그램 보기"를 비활성화 하자. 이제부터는 Dock(독)에 설정한 응용프로그램들만 나타나게 된다. 간단한 방법으로 Dock(독)에 종료한 응용프로그램들이 남지 않아서 편하게 사용 가능하다. 2022. 2. 4.
[Mac] MacOS에서 CentOS 부팅USB 만들기 MacOS에서 CentOS 부팅 USB 만들기 자주 사용하지는 않지만 테스트 서버에 CentOS설치가 필요한 부분이 있어서 Mac에서 CentOS 부팅 USB 만드는 방법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도록 하자. 1. CentOS ISO 다운로드하기 https://mirror.kakao.com/centos/7/isos/x86_64/ https://mirror.kakao.com/centos/8-stream/isos/x86_64/ 해당 Mirror 사이트에서 본인에게 맞는 OS를 선택하여 ISO 파일을 다운로드 하자. 2. 설치할 USB 세팅하기 2.1 USB 포맷 MacOS의 기본 앱인 디스크 유틸리티 앱을 이용하여 설치할 USB 포맷 하자. 포맷방식 : MS-DOS(FAT) 2.2 Disk 위치 확인 터미널에서 .. 2022. 2. 4.
[Font] 한컴 서체란? 한컴 서체란? 한글과 컴퓨터에서 30주년을 기념하여 한컴 서체(Hancom Font)를 내놓았다. 한컴 서체(한컴 산스체, 한컴 말랑말랑체, 한컴 훈민정음 세로 쓰기체)는 개인 및 기업 사용자를 포함한 모든 사용자에게 무료로 제공을 하고 있다. 그럼 해당 한컴 서체를 통해서 어떻게 사용 가능한지 알아보도록 하자. 일단 서체 다운로드하는 방법부터 알아보자. 1. 서체 다운로드 및 MacOS에 설치 방법 한글과 컴퓨터에서 제공하는 서체는 한컴 산스체, 한컴 말랑말랑체, 한컴 훈민정음 세로쓰기체로 3종이다. https://font.hancom.com/index.html Document font.hancom.com 위 사이트를 접근하면 아래와 같이 서체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다운로드한 서체 파일을 MacOS에.. 2022. 2. 3.
[Mac] macOS에서 서체 설치 및 제거 하는 방법 macOS에서 서체 설치 및 제거하는 방법 MacOS에 기본적으로 많은 서체가 내장되어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새로운 서체를 설치하거나 혹은 설치한 서체를 삭제하는 경우가 있다. 그럼 한번 어떻게 설치 및 삭제를 하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1. 서체 설치 하기 설치할 서체를 가지고 있다면, Finder에서 해당 서체를 더블클릭 후 서체 미리 보기 창이 열리면 아래 부분에 있는 "서체 설치"를 클릭하여 서체를 설치한다. 이렇게 서체 관리자에서 확인해보면 새롭게 등록된 서체를 확인할 수 있다. 등록된 서체는 이제 MacOS 어디서든 사용이 가능하다. 2. 서체 삭제 하기 MacOS에서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서체에 대해서도 제거가 가능하다. 응용프로그램에서 서체 관리자로 들어가 보자. 서체 관리자에서 삭제할 .. 2022. 2. 3.
[Mac] MacOS에서 ZIP 압축파일 암호 설정 MacOS에서 ZIP 압축파일 암호 설정 MacOS(맥 OS) 사용 시 Cli(Command Line Mode)를 통해서 파일을 압축하는 경우 암호를 설정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 zip 명령어를 통해서 압축 방법 및 암호 설정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자. MacOS에 기본 내장되어 있는 zip 명령어의 e / r 옵션을 이용하여 설정이 가능하다. - e 옵션 : encrypt(암호화)로 압축 시 암호 설정 - r 옵션 : 압축 대상이 폴더인 경우 하위 있던 모든 폴더와 파일을 압축 설정 그럼 일단 zip 명령어 사용 옵션을 알아보도록 하자. 1. zip 명령어 사용 옵션 $ zip -h $ zip -h2 help 내용에 대해서 좀 더 상세하게 설명 $ zip -h Copyright (c) 1990-20.. 2022. 2. 3.
[Linux] 리눅스에서 특정 크기의 파일을 만드는 방법 리눅스에서 특정 크기의 파일을 만드는 방법 파일 업로드 기능을 개발하는 도중 파일 업로드 크기(Size) 제한 부분에 대해서 테스트가 필요하였다. 테스트를 위해서는 다양한 크기를 가진 파일들이 필요하였으며, 개발 장비에 여러 다양한 사이즈를 가진 파일들이 있으나 100MB(메가바이트) / 1GB(기가바이트) / 5GB(기가바이트)와 같이 정확한 크기를 가진 파일들이 필요하였다. 다행히도 리눅스(Linux)에서는 여러 명령어를 통해서 특정 크기의 파일을 만들 수 있다. 그럼 그 방법들은 하나하나 알아보도록 하자. 1. truncate 명령어 사용 truncate 명령어를 이용하여 100MB의 크기를 가진 파일 생성해보도록 하자. 디렉토리 안에 아무런 파일이 없는 상태에서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입력해보자. .. 2022. 2. 2.
[Tistory] 티스토리 Book Club Pagination 수정하기 티스토리 Book Club Pagination 수정하기 티스토리(Tistory) Book Club 스킨을 사용하는 도중, 글의 개수가 많이 지면서 Pagination이 나오는 부분에서 기존과 다르게 한 줄이 아닌 두줄로 변경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아래처럼 두줄로 확인된 Pagination을 기존과 같이 한 줄로 나오도록 수정해보도록 하자. 1. HTML 편집 화면으로 이동 우선 티스토리 관리자 화면으로 들어가서 "꾸미기 > 스킨 편집"을 선택하자. 그 후 "html 편집" 선택 후 "CSS" 항목으로 이동하자. 2. 기존 설정 찾기 "CSS" 편진 화면으로 들어가서 ".pagination a"을 검색 하자. 검색을 해보면 대략 1258줄에 아래와 같이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줄 번호는 CSS 설정에.. 2022. 1. 31.
[Linux] CentOS Firewall(방화벽) 확인 및 중지 하기 CentOS 방화벽 확인 및 중지 하기 Linux(리눅스)를 사용하다 보면 간혹 Firewall(방화벽)이 구동 중임에 따라서 특정 Port(포트)로 접근이 불가한 경우가 있다. 이때 Firewall(방화벽) 설정을 통해서 해당 Port만 ACL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그 방법은 다음번에 작성하기로 하자. 이번에는 Firewall(방화벽) 구동 여부 확인 및 중지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1. Port Open(오픈) 확인 DB Tool을 이용하여 3306 Port를 이용하여 접근을 하고자 한다. 우선 Terminal(터미널)에서 telnet(텔넷)을 이용하여 Port 오픈 여부를 확인해 보자. # Telnet을 통한 Port 오픈 확인 $ telnet 192.168.0.25 3306 Tryi.. 2022. 1. 30.
[Linux] CentOS Hostname(호스트명) 변경 하기 CentOS Hostname 변경 하기 기본 설정으로 되어있는 여러 개의 시스템을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 터미널 화면으로 바로 어떤 시스템인지 구분이 쉽지 않다. 기본적으로는 모두 Hostname(호스트명)이 아래 1번 내용과 같이 localhost로 설정되어있다. 이제 Hostname(호스트명)을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1. Hostname(호스트명) 확인 현재 시스템의 Hostname(호스트명)을 확인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 1. 현재 시스템에 설정된 hostname(호스트명) 확인 $ hostname localhost # 2. 현재 시스템에 설정된 hostname(호스트명) 확인 $ hostnamectl status Static hostname: localhost Icon name.. 2022. 1. 30.
[Linux] 리눅스에서 CPU 정보 확인 방법 리눅스에서 CPU 정보 확인 방법 간혹 사용 중인 시스템의 CPU 정보(모델, 코어 개수, 코어 속도 등)에 대해서 확인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Linux(리눅스) OS에서 CPU 정보를 확인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자. 1. /proc/cpuinfo Linux(리눅스)에서 제일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proc/cpuinfo" 명령어를 통해서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자. $ cat /proc/cpuinfo 테스트 서버의 정보는 "i5-7500 3.40 GHz"이며, 각종 CPU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다. 1.1 프로세스 개수 $ cat /proc/cpuinfo | grep processor $ cat /proc/cpuinfo | grep processor | wc -l $ cat /proc/cpuinfo .. 2022. 1. 30.
[Linux] 일반 계정에서 SUDO 사용 및 SUDOERS 설정 하기 일반 계정에서 SUDO 사용 및 SUDOERS 설정 하기 CentOS와 같이 Linux에는 관리자 계정과 일반 계정이 나눠져 운영이 된다. 그러나 일반 계정으로 사용하다 보면 일반 계정에서 Root 권한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이때 sudo라는 명령어를 통해서 임시적으로 Root 권한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관리자가 해당 일반 계정에 sudo 사용 권한을 주지 않는 경우 사용할 수가 없다. 또한, 아래와 같이 "xxx은(는) sudoers 설정 파일에 없습니다. 이 시도를 보고합니다."라는 오류 메시지도 출력된다. $ sudo -i [sudo] xxx의 암호: xxx은(는) sudoers 설정 파일에 없습니다. 이 시도를 보고합니다. 그럼 사용을 위해서는 관리자가 sudoers 파일 설정이 필요하다. .. 2022. 1. 30.
[Linux] rm 사용 시 "인수 명단이 너무 김(Argument list too long)" 발생 시 해결 방법 rm 사용 시 인수 명단이 너무 김 발생 시 해결 방법 Linux(리눅스)에서 파일을 삭제 시 rm 명령어를 통해서 삭제를 할 수 있다. 그러나 파일을 삭제하다가 간혹 "인수 명단이 너무 김(Argument list too long)" 같은 메시지가 발생되면서 삭제가 안 되는 경우가 있다. 그럼 이런 메시지가 발생되었을 때 삭제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자. 1. 인수 명단이 너무 김(Argument list too long) 파일이 많은 경우 한 번에 삭제를 진행하거나 할 때 아래와 같이 메시지가 발생할 수 있다. $ rm -rf a* sh: /bin/rm: Argument list too long $ rm -rf 2019-12* -bash: /bin/rm: 인수 명단이 너무 김 2. 해결 방법 해당 메.. 2022. 1. 30.
[Linux] find 명령어로 디렉터리 파일 찾기 find 명령어로 디렉터리 파일 찾기 Find 명령어로 자주 사용하는 디렉터리 찾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자. 1. 자주 사용하는 옵션 정리 -type : 디렉터리 , 파일 구분해서 찾을 때 d : 디렉터리 f : 파일 -size : 파일 사이즈 -ctime : 일단위 -mmin : 분단위 2. 일정 날짜가 지난 내용 찾기 # 파일 생성일이 최근 30분 안에 생긴거 찾기 $ find ./ -type f -mmin -30 # 디렉터리가 생성된게 30일 지난거 찾기 $ find ./-type d -ctime +30 3. 특정 파일 사이즈 이상되는 거 찾기 # 1k 이상되는 파일 삭제 $ find ./ -type f -size +1k -delete # -exec 활용 $ find ./ -depth -type f.. 2022. 1. 30.
[Solaris] 솔라리스 시스템 종료 및 재부팅 명령어 솔라리스 시스템 종료 및 재부팅 명령어 솔라리스(Solaris)는 시스템 종료 및 재부팅 명령어가 Linux(리눅스)와는 조금 차이가 있다. 그럼 어떻게 차이가 있는지 한번 알아보도록 하자. 1. init 0 위 명령어는 시스템을 run level 0로 전환시킨다. /etc/rc0.d 스크립트를 실행하여 모든 서비스와 데몬을 종료하고 시스템을 PROM 모드로 전환한다. 2. init 5 run level 5로 시스템을 전환한다. /etc/rc0.d 스크립트를 실행하여 모든 서비스와 데몬을 종료하고 시스템을 Power off 시킨다. 3. init 6 run level 6로 시스템을 전환한다. /etc/rc0.d 스크립트를 실행하여 모든 서비스와 데몬을 종료하고 시스템을 재부팅한다. 이때 시스템은 PROM.. 2022. 1. 30.
[Linux] Logrotate 이용한 로그 관리하기 Logrotate 이용한 로그 관리 Linux(리눅스)에서 로그 관리를 위해 기본적으로 Logrotate를 사용한다. 그럼 간단하게 Logrotate가 무엇이고, 어떻게 설정하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1. Logrotate란? 로그(Log) 파일을 압축, 삭제, 메일링, 권한 등 설정하여 쉽게 관리할 수 있도록 사용되는 Linux 시스템 명령어이다. Logrotate를 사용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그중 제일 큰 부분은 분할과 용량 때문이다. 첫 번째로는 한 개의 파일에 계속적으로 로그들을 쌓는다면 일단 파일을 여는 것부터 문제가 된다. 만약 파일을 열었다고 해도 파일 내에 많은 로그가 저장되어있기에 원하는 걸 찾기도 쉽지 않다. Logrotate 설정으로 분할하여 저장된다면 파일의 용량도 적을 뿐.. 2022. 1. 30.
300x250
300x250
 
300x250
300x250

loading